가족과 지원


"가족지원" 검색결과 : 18개 (1/2페이지) rss

생애주기별 장애인가족지원 제안 (2) -

Post Image 생애주기별 장애인가족지원 제안(2)- 부제: 죽지 않고, 죽이지 않는 - 글쓴이: 김석주(자폐청년의 부모/ 음악치료사/ 칼럼니스트)​장애등급제를 폐지한 이유는 장애등급 1, 2, 3급에 따라 똑같은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1급이라도 필요 없는 서비스가 있고 3급이라도 꼭 필요한 서비스가 있는 현실에서, 기관이나 가족의 의견이 아닌 장애 당사자의 필요와 욕구 ...   내용 보기

생애주기별 장애인가족지원 제안(1) - 사각지대에 정보전달부터

Post Image 생애주기별 장애인가족지원 제안(1) -사각지대에 정보전달부터글쓴이: 김석주(자폐청년의 부모/ 음악치료사/ 칼럼니스트)현장에서 온몸으로 씨름하시는 부모, 교사, 복지사분들이 서로 만났을 때“왜 저 교사는 나와 다른 말을 할까, 왜 저 부모님은 내 마음을 이해 못하실까?”각자의 환경에서 처한 경험과 의견의 차이에서 오는 소통의 불편함, 어려움들이 있으셨을 겁니다. 모두가 바라는 궁극적인 바람은 같기에 정책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고 어떤 제...   내용 보기

너는 사춘기 나는 갱년기

Post Image  글 : 임신화 (꿈고래놀이터부모협동조합 이사장/사회적경제 컨설턴트/자폐성장애 남매 동현,혜승이 엄마)두 달 전 중학생이 된 딸이 초경을 시작했습니다. 어느 새 훌쩍 자라 엄마보다 훨씬 키가 커진 것은 물론이고 얼굴에 여드름이 하나씩 나더니 내가 느끼지 못하는 사이 딸아이는 건강한 여성으로 성장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하지만 막상 자연스러운 성장을 엄마인 나는 얼마나 받아들이고 있는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가족들이 함께 케이크에 초를 ...   내용 보기

82년생 김지영과 82년생 장애맘

Post Image 글쓴이: 김석주(자폐청년의 부모/ 음악치료사/ 발달장애지원전문가포럼 교육위원)출산과 육아를 경험하는 대부분의 여성들이 그러하겠지만, 특히나 장애자녀를 낳고 키우는 엄마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직면하기가 쉽지 않다. 결혼 전 꿈꾸던 미래는 커녕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역할을 덜컥 맡아, 고치지 못할 고장난 시계에 평생 갇힌 듯한 절망을 익숙해질 때까지 꾸역꾸역 받아들이게 된다.나는 누구인가?나는 무엇을 꿈꾸었는가?나는 무슨 일을 하고 싶었는가...   내용 보기

발달장애인과 부모의 세대 차이, 클수록 좋다

Post Image 글 : 김 성 남 (발달장애지원전문가포럼 대표)세대 차이는 경험한 시대의 차이, 혹은 사회구조의 차이를 반영한다. 예컨대 '386세대'에서 8은 80년대라는 시대상황을 의미한다. 80년대에 청년의 시기를 살아온 세대를 뜻하는 말이고 그들의 아동기와 청년기와 중년기는 70년대부터 80년대를 거쳐 90년대에 걸쳐있다. 현재 20대인 세대와 10대인 세대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사회구조의 큰 변화를 겪은 세대는 아니지만 그들과 4, 50대는 사회변화가 ...   내용 보기

모든 관계의 시작은 가정으로부터

Post Image   어떤 심리학자가 말하길 “사람은 모든 인간관계의 틀을 가정 안에서 배우게 된다”고 했습니다. 이 말은 즉, 사회에 나가서 만나게 되는 동료, 친구와의 관계는 형제, 자매 관계에서 그 틀이 만들어 진다는 것이며, 선배, 상사에 대한 관계는 부모와의 관계가 그 기초가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결혼 후의 부부관계는 아버지 어머니의 관계를 보고 배운다는 것이죠.따라서 가정안에서의 모든 인간관계는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   내용 보기

상윤씨의 이야기 : 네번째

Post Image 평생 내가 밥을 차려줘야 할지도 모른다 싶었던 아들이 열다섯 살이 되기도 전에 우리 가족의 밥상을 차리기까지 지나온 행보를 연작으로 펼치는 이야기입니다.(3) 중학교까지는 그래도 행복했지 중학교에 입학한 후 보름에 한 번 정도 학교의 급식실 한 귀퉁이를 빌려 특수학급에서 ‘요리실습’을 하기 시작했다. 부모들은 안전 문제 때문에 무척 걱정을 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아이들이 흥미를 보였다. 학급의 아이들 중에 ‘요리사’가 되고 싶다는 의사를...   내용 보기

상윤씨의 이야기 : 세번째

Post Image 평생 내가 밥을 차려줘야 할지도 모른다 싶었던 아들이 열다섯 살이 되기도 전에 우리 가족의 밥상을 차리기까지 지나온 행보를 연작으로 펼치는 이야기입니다.====(2)삼대 가정 시대로 진입하다==== 큰댁이 자녀 교육에 매진하느라 교육열 펄펄 끓는 동네로 이사를 나가자 축대 아래 내려다보이던 부모님 댁 너른 마당과 차고 위 ‘비밀의 밭’이 드디어 내 차지가 되었다. 장애와 비장애라는 양극단의 교육 영역에서 널뛰기를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   내용 보기

[자료] 초중고 장애학생 양육길라잡이

Post Image <초중고 장애학생 양육지원 가이드북>이 발간되었습니다.국립특수교육원 e-book 으로 보실 분은http://www.nise.go.kr/upload/ebook/list.html​ 사이트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가이드북은 총6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제1권 - 공동양육지원제2권 - 시각장애 편제3권 - 청각장애 편제4권 - 지적장애 편제5권 - 지체장애(뇌병변) 편제6권 - 자폐성장애, 정서행동장애 편※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다운로드 받...   내용 보기

성인- 자폐적이고 돌봄을 받지 못하는

Post Image ​     2010년 11월 췌장암으로 돌아가시기 두달 전에, 언제나 강하고 굳세던 어머니는 자폐 형에 대한 연민으로 내 팔에 기대어 엉엉 울며 무너지셨다. 40년 동안 시설에 있었고 그때 55세였던 죠슈아는 안정적인 상황이었고 관계도 건강해보였다. 하지만 어머니는 장애아이들의 모든 부모가 사로잡혀 있는 공포: 내가 죽고나면 내 아이는 어떤 일을 당할까? 에서 여전히 헤어나오지 못한 상태였다.  ...   내용 보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